SEO(검색엔진최적화)용어 설명모음
Flash 설명 목록
카테고리별로 폴더에서 분리하는 방법
각 페이지의 내용을 각 카테고리별 폴더로 나누면 검색 엔진에서 인식하기 쉬워져, 상위 표시에 도움이 됩니다.
자바 스크립트 (javascript) 외부 파일화에 대해
자바 스크립트 (javascript)에서 HTML 소스에 많은 위치를 차지하는 경우 외부 파일 화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코딩시 한국의 환경에서는 HTML소스 최적화에 대한 관심이 높지 않은것 같습니다. 특히 중요한 부분인 head소스의 코딩시 불필요한 스크립트를 100행~1000행 이상 기술함으로써 head부분을 길게 작성하는 경우가 다수 발견된다. 소스의 최적화중 특히 head부분의 최적화를 구현해 주는 방법은 중요하다. head가 길어질것 같은 script소스는 외부 파일로 치환해 주는 방법을 통해 로봇과의 스피드하고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취하자!!
유사 키워드의 통일에 대해
키워드는 그 해당 키워드에 다수의 유사 키워드가 존재합니다. 로봇형 검색 엔진은 유사한 키워드를 전혀 다른 키워드로 인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키워드의 통일성을 가져가면서 전략적으로 타겟키워드와 유사키워드를 효과적으로 배치하면서 목적 페이지의 키워드의 밀도를 조정해 나가야 할것이다. 타겟 키워드의 밀도는 5~10%이내로 배치하면서, 타겟 키워드 이외의 키워드 밀도는 5%이하로 낮추어준다. 타겟키워드가 아닌 키워드가 타겟키워드보다 밀도가 높을 때에는, 그 키워드를 유사한 의미의 키워드로 대체으로써 그 페이지 내에서 타겟 키워드의 밀도를 높여주고, 주변 키워드의 밀도를 5% 이하로 낮추어 줌으로써 전체 키워드 밀도를 타겟키워드로 최적화해 나간다.
효과적인 키워드 사용
효과적인 키워드를 사용하는 방법은 무척 중요하다. 사이트가 구조적으로 SEO대응 최적화가 되었더라도, 키워드의 활용 여부에 따라 전체 퍼포먼스가 배가될 수 있는것이다.
키워드를 효과적으로 발췌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키워드 추출도구 및 로그 분석기를 사용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목적 페이지가 무엇으로 색인 되었는가를 아는 것이 중요하겠다. 무엇으로 색인되었는가를 아는 방법으로 가장 보편적인 것이 로그분석기의 키워드 데이터를 활용하는것이다.
그리고 검색결과 화면을 모니터링하면서 경쟁사의 키워드를 분석하고 자사에 없는 NEW키워드를 추출하는 방법이 중요할 것이다. 타겟키워드의 검색결과 화면을 모니터링 하는것은 효과적인 키워드 추출,사용에 무엇보다 유효하고 효율이 높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링크하는 방법 (엥커텍스트)
자신의 사이트에 링크를 붙인다거나, 다른 사이트로부터 외부의 링크를 붙여갈때 검색 엔진 상위 표시할 키워드가 있면, 그 링크의 방법은 베너링크(이미지링크)가 아닌 텍스트 (앵커 텍스트)링크를 사용하는것이 유효합니다.
링크란 단순히 A->B사이트로의 이동을 의미하지만, 검색엔진의 입장에서 링크는 이동의 개념+어떤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순위 알고리즘에서 링크는 점수를 계산한다고 하면 점수를 올려주는 역할을 한다고 이해하면 쉬울 것이다.
HTML의 단순화에
HTML을 단순화 (쓸데없는 태그 삭제)하여 키워드의 중요도가 상승, 검색 엔진 상위 표시 유효합니다.
상당수 홈페이지에 html코딩시 무의미한 스크립트를 헤드테그에 길게 작성하여 코딩을 전체적으로 길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별히 head테그는 중요하므로 코딩시 스크립트 테그가 길다 싶으면, 외부파일로 치환하는 방법을 권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크롤링 및 로봇과의 정보교환에 있어 좀더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합니다.
소스의 코딩은 심플하고 명확하게, 스크립트가 긴 것은 외부파일로 치환하는 센스가 필요합니다.
키워드 광고만 하는 홈페이지라면, 그다지 상관없는 이야기일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하지만 검색엔진최적화를 한다면 구글이나 다른 검색엔진에도 잘 노출되려고 한다면 한번쯤 실행해볼 부분입니다.
CSS (스타일 시트)의 단순화
CSS (스타일 시트)를 외부 파일로화된 경우에도 HTML에 스타일 시트가있을 수 있습니다.
스트롱 태그 (strong)
스트롱 태그 (strong)를 사용한 키워드는 검색 엔진에 중요시됩니다. 문장 전체가 아닌 키워드 및 문장에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일반적으로 스트롱테그와 볼딕은 외관상으로 두꺼운 글씨로 되어있지만 소스상의 표현 여부에 따라 검색엔진이 인식하는 것은 다르다. 무조건 두꺼운 글씨라고해서 강조되는 것이 아니다. 검색엔진에 강조 표현을 인식시키기 위해서는 스트롱 테그를 사용하여 텍스트에 강조표시를 하는것이 유효하다고 하겠다.
메타태그 (meta) 설치 방법
메타태그 (meta) 설치 방법. Keywords '은 상위 표시할 키워드를 설명하고, "description"사이트 설명을 100 자 이내로 작성합니다.
검색엔진 최적화를 위한 상위표시방법중 메타테그 사용입니다. 메타디스크립션과 메타키워드는 사실 순위와는 크게 상관이 없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중요하지 않는것은 아닙니다.
메타 디스크립션은 검색결과에서 클릭율을 상승시키기도하며, 잘작성된 메타디스크립션으로 인해 이탈율을 낮추기도 합니다. 따라서 타이틀 메타디스크립션 메타키워드의 관련성은 상당히 중요합니다.
메타키워드의 경우 그 페이지에 중요한 키워드를 메모한다는 느낌으로 정리해두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타이틀 및 디스크립션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키워드를 정리하는 것이죠. 단 10개 정도선에서 기록하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너무 많이 사용한다고하여 순위를 올리는 것이 절대 아닙니다. 오히려 역효과를 일으킵니다. 따라서 과유불급, 적당히 사용하시기바랍니다.
페이지 제목 (Title)을 만드는 방법
검색 엔진 상위 표시 효과적인 페이지 제목 (Title)을 만드는 방법은 사이트에서 가장 중요한 테그라고 생각합니다. 타이틀 테그의 가치를 모르는 많은 사람들은 h테그의 사용을 강조하곤 합니다. 하지만 제일 중요한것은 타이틀 테그이며, 타이틀테그가 갖추어진 상태에서의 h테그는 그 힘을 발휘하게 됩니다. 즉 물리적인 테그가 갖추어 졌다고 순위가 올라가고 내려가는 무식한 방법이 아니라, 그 퍼포먼스가 중요합니다. 퍼포먼스란 100을 기준으로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플러스)도 되지만 -(마이너스) 도 될 수 있는것입니다.
ALT 속성 삽입에 대해서
ALT 속성 삽입하는 방법은 각 페이지의 이미지를 설명하는 텍스트 입니다. ALT를 쓰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유저빌리티 향상입니다. 혹시 어떠한 이유로인해 이미지 로딩이 불가능하게 될 경우 고객이 ALT값의 텍스트를 통해 그 그림을 간접적으로 알수 있게되는 것이죠. 이것을 구글은 평가한다는 이야기 입니다. 또한 눈이 보이지 않는 분들의 경우 이러한 텍스트 값을 PC가 읽어주는 역할도 한다고합니다.
크롤러빌리티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ALT값은 그 페이지의 텍스트 및 이미지가 결국은 같은 내용을 혹은 같은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검색로봇이 캐치 할 수 있게 되므로, 전 체 컨텐츠에대한 통일성에 +영향을 주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크롤러에게 각 요소 요소에대한 정확한 인포메이션을 제공하는 것으로 말미암아 그페이지의 본래의 내용을 정확히 이해시킨다면 검색엔진은 훨씬 평가하기 좋다고 생각합니다.
어찌되었든 유저빌리티적인 측면과 크롤러빌리티적인 측면의 두가지에서 모두 중요한 요소중 하나입니다. ALT를 쓰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상위노출이 안되거나 하는것은 절대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홈페이지의 전체적인 통일성 중에 한 요소가 ALT가 되는 것이고 컨텐츠 퀄리티가 높은 페이지가 되기위한 한가지 요소일 수 있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이상 용어대한 간단한 설명입니다.